맨위로가기

당뇨병성 케톤산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인슐린 부족으로 인해 혈액 내 케톤체가 증가하여 발생하는 심각한 합병증이다. 주로 1형 당뇨병 환자에게서 발생하지만, 2형 당뇨병 환자나 당뇨병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다. 인슐린 절대적 또는 상대적 결핍, 감염, 약물, 식이장애 등이 원인이며, 과도한 갈증, 잦은 배뇨, 구토,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인다. 진단은 고혈당, 케톤, 산증을 확인하여 이루어지며, 치료는 수액 공급, 인슐린 투여, 전해질 보충을 통해 진행된다.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사망 위험은 낮지만, 뇌부종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염기 이상 - 알칼리혈증
    알칼리혈증은 혈액 pH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상태로, 과호흡으로 인한 호흡성 알칼리혈증과 구토, 탈수, 알칼리 섭취 등으로 인한 대사성 알칼리혈증이 있으며, 신체는 다양한 보상 기전을 통해 pH를 정상화하려 한다.
  • 산염기 이상 - 대사성 산증
    대사성 산증은 혈액 내 산 축적 또는 중탄산염 부족으로 pH가 낮아지는 상태로, 산 생성 증가, 중탄산염 손실, 신장 기능 저하로 발생하며, 혈액 검사로 진단하고, 원인 교정 및 중탄산염 보충으로 치료하며, 만성 신장병 환자는 신부전 진행을 늦추는 데 집중한다.
  • 응급질환 - 저혈량증
    저혈량증은 순환혈액량 감소로 인해 조직 관류가 저하되는 상태로, 출혈, 위장관 문제, 과도한 발한, 신장 기능 장애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두통, 피로, 저혈압, 빈맥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심각한 경우 쇼크로 이어질 수 있다.
  • 응급질환 - 저혈당증
    저혈당증은 혈당 수치가 70 mg/dL 미만으로 감소한 상태를 의미하며, 뇌에 포도당 공급 부족으로 신경당결핍 증상과 교감신경성 증상이 나타나고, 당뇨병 환자에게서 흔히 발생하며, 인슐린 과다 복용 등이 주요 원인이다.
  • 당뇨병 - 인슐린 저항성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이 제 기능을 못하여 혈당 수치가 상승하는 상태로, 고인슐린혈증을 유발하고 2형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유전적 요인, 비만, 운동 부족 등이 주요 원인이고 생활 습관 개선과 약물 치료로 관리한다.
  • 당뇨병 - 인슐린
    인슐린은 췌장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호르몬으로 혈당 조절, 단백질 합성, 세포 성장에 관여하며,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고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당뇨병성 케톤산증
질병 개요
탈수 치료를 위한 수액 주입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자의 탈수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정맥 수액이 필요하다.
분야내분비학
증상구토
복통
깊고 빠른 호흡
다뇨
혼란
특이한 입냄새
합병증뇌부종
발병 시기비교적 빠름
원인인슐린 부족
위험 요인보통 제1형 당뇨병 환자, 그 외의 당뇨병 환자에게서는 비교적 덜 발병함
진단고혈당
산증
케톤산 증가
감별 진단고삼투압성 고혈당 증후군
알코올성 케톤산증
요독증
살리실산염 중독
치료수액
인슐린
칼륨
빈도연간 제1형 당뇨병 환자의 4–25%
사망률불명
질병 명칭
영어Diabetic ketoacidosis, DKA
진료과
관련 진료과내분비내과

2. 원인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주로 체내 인슐린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다.


  • 인슐린 절대적 결핍:
  • 1형 당뇨병 발병 시: 췌장의 랑게르한스 섬의 인슐린 생성 세포(β 세포)가 파괴되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인해 발생한다.
  • 1형 당뇨병 환자가 인슐린을 투여받지 않을 때: 감기 등으로 식사를 하지 않더라도 인슐린은 투여해야 하지만, 투여를 게을리하면 케톤산증이 유발될 수 있다. (식 데이의 가르침)
  • 인슐린 상대적 결핍:
  • 급성 감염증(특히 폐렴 및 요로 감염증), 심근 경색, 뇌혈관 장애, 췌장염, 외상 등의 생리적 스트레스[50]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이아자이드계 이뇨제, 교감신경 흥분제[50], 전립선암 치료에 사용되는 아세트산 클로르마디논[49] 등의 약물 부작용[50]
  • 기타 요인:
  • 제2형 당뇨병 환자의 SGLT2 억제제 복용: 혈당 수치가 크게 올라가지 않는 당뇨병성 케톤산증(정상혈당성 DKA) 발생과 관련이 있다.[64]
  • SGLT2 억제제를 복용하는 경우: 인슐린 용량을 줄이거나 투여를 놓치면 더 흔하게 발생한다.
  • SGLT2 억제제 복용과 관련된 추가 요인: 심각한 급성 질환, 탈수, 과도한 운동, 수술, 저탄수화물 식이요법, 과도한 알코올 섭취.[64]
  • 제1형 당뇨병 환자: SGLT2 억제제 사용 시 케톤산증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특별한 위험 관리가 필요하며, 저탄수화물 식이요법이나 케톤생성 식이요법을 하는 사람에게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67]
  • 병발성 질환(폐렴, 독감, 위장관염, 요로감염증), 임신, 불충분한 인슐린 투여(인슐린 펜 고장 등), 심근경색, 뇌졸중, 코카인 복용[59]
  • 젊은 환자: 기저질환으로 식사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체중 증가를 걱정해 인슐린을 불충분하게 사용[59]
  • 케톤증 경향 제2형 당뇨병: 아프리카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히스패닉에서 더 흔하다.[55][63]
  • 페트병 증후군 (청량 음료 케토산증): 제2형 당뇨병 환자가 당분이 많이 함유된 페트병 음료를 다량 섭취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일본에서 주로 보고됨)

3. 발병 기전

당뇨병성 케톤산증(DKA)은 체내 인슐린 작용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다. 인슐린 작용이 감소하고 글루카곤이 증가하면, 에서 포도당신생과 글리코겐 분해가 증가하여 포도당 방출이 늘어난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인슐린이 이 과정을 억제한다. 혈액 내 포도당 농도가 높아지면, 삼투성 이뇨 과정을 통해 물, 나트륨, 칼륨 등과 함께 소변으로 배설된다.[55] 이로 인해 다뇨, 탈수, 다음증이 나타난다.

인슐린 부족은 지방조직에서 지방분해를 일으켜 자유 지방산 방출을 유도한다. 간에서는 자유 지방산을 베타 산화시켜 아세틸 CoA를 생성한다. 심각한 에너지 결핍 상태에서 아세틸 CoA는 케톤생성 과정을 통해 아세토아세테이트와 베타-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 같은 케톤체로 대사된다. 이 케톤체들은 인슐린을 통한 포도당 전달이 안 될 때 에너지원으로 작용하여 굶주렸을 때 에너지를 공급한다. 그러나 케톤체는 pKa가 낮아 혈액을 산성화시켜 대사성 산증을 유발한다.

베타-하이록시뷰티레이트. 화학적으로는 케톤 대신 카복실기를 포함하고 있으나 당뇨병성 케톤산증에서 주로 발생하는 케톤산이다.


신체는 중탄산염 완충계를 통해 산성화를 완충하려 하지만, 이 시스템은 빠르게 압도된다. 따라서 산증을 보상하기 위해 다른 기전들이 작동하는데, 그중 하나가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기 위한 과호흡(호흡보상)이다. 과호흡이 심해지면 쿠스마울호흡으로 나타난다.[59]

감염 등 여러 상황에서 인슐린 필요량이 증가하지만, 이자의 생산량이 부족하여 혈당 수치가 올라가고 탈수가 발생하며,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55][57]

이러한 기전으로 인해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자는 평균 6L (또는 100mL/kg)의 수분 부족과 함께 나트륨, 칼륨, , 마그네슘, 칼슘 등이 감소한다. 혈당 수치는 보통 13.8mmol/L 또는 250 mg/dL 이상이다.[68]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랑게르한스섬에서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제1형 당뇨병에서 흔하다. 제2형 당뇨병에서는 인슐린 생산이 이루어지지만, 말초 기관의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필요량을 충족하지 못한다. 보통 제2형 당뇨병의 인슐린 생산량은 케톤생성을 억제할 정도는 된다.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서 당뇨병성 케톤산증이 발생하면 케톤증 경향 제2형 당뇨병이라고 한다.[63] 이 현상의 정확한 기전은 불분명하나, 인슐린 분비와 작용 과정 모두 손상되었다는 근거가 있다.[55][63]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임상 상태에는 글루카곤, 아드레날린길항호르몬사이토카인이 관련되어 있다. 사이토카인은 염증 표지자로, 감염이 없더라도 증가할 수 있다.[55][69]

뇌부종은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가장 위험한 합병증으로, 탈수, 산증, 낮은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 염증, 혈액응고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고 여겨진다.[62]

4. 증상 및 징후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증상은 보통 24시간에 걸쳐 서서히 나타난다. 주된 증상으로는 구역질, 구토, 심한 갈증, 소변량 증가, 그리고 심하게 나타날 수 있는 복통이 있다.[10][11][58][59] 중증 당뇨병성 케톤산증에서는 빠르고 깊으며 헐떡이는 듯한 특징적인 쿠스마울호흡이 나타난다.[12][13][58][59]

복부에는 압통이 느껴질 수 있는데, 이는 급성 췌장염, 충수염, 위장관 천공과 같은 심각한 복부 질환으로 오인될 수 있다.[13][59] 소수의 환자에게서는 커피 찌꺼기 모양의 구토가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식도 미란에서 비롯되는 경향이 있다.[5][57] 중증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자는 혼란을 겪거나 의식 수준 저하를 보이며, 심한 경우 혼수 상태에 빠지기도 한다.[14][13][60][59]

신체 검사 시에는 보통 입이 마르거나 피부 탄력이 감소하는 등 탈수 증상이 나타난다.[15] 탈수가 심하여 혈액량이 감소하면 빠른 심박수와 낮은 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 케톤산 때문에 날숨에서 과일 향이나 배 드롭 냄새와 비슷한 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는데,[2][13][54][59] 이는 날숨 속 아세톤 때문이다.[16][61] 쿠스마울호흡이 나타나면 호흡수 증가로 이어진다.[13][59]

당뇨병성 케톤산증이 있는 소아는 뇌부종에 취약하여 두통, 혼수, 동공 빛 반사 소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17][55][59][62] 뇌부종은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아의 약 1%에서 발생하며, 성인에서는 더 드물게 나타난다.[3][13][18][55][59][62]

초기에는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며,[51] 호흡 시 케톤 냄새나 아세톤 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다.[50]

전형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5. 진단

고혈당증, 혈액이나 소변의 케톤, 산증이 함께 나타나면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60] 환자 중 10%는 혈당이 크게 올라가지 않는 정상혈당성 케톤산증의 양상을 보인다.[55]

산증을 확인하기 위해 pH를 측정하는데, 동맥과 정맥의 혈액 pH는 거의 차이가 없으므로 정맥 혈액으로도 충분하다. 동맥혈 표본은 산소 농도 검사가 필요할 때만 사용한다.[60] 케톤 측정에는 소변의 아세토아세테이트와 혈액의 베타-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를 사용한다. 모세혈관 혈액의 베타-하이드록뷰티레이트 측정은 소변 아세토아세테이트 검사에 비해 입원 필요성과 기간을 줄이고, 병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70] 다만, 케톤 농도가 매우 높으면 모세혈관 혈액에서의 케톤 측정이 부정확해질 수 있다.[71]

일반적으로 요소, 크레아티닌, 전해질 농도 측정을 위해 혈액 표본을 채취한다. 요소와 크레아티닌은 콩팥기능을, 전해질은 전해질 균형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감염 표지자인 일반 혈액 검사와 C반응단백(CRP), 급성 췌장염 표지자인 아밀레이스라이페이스도 측정할 수 있다. 감염을 배제하기 위해 흉부 X선과 소변검사를 흔히 시행한다.[55]

혼란, 재발성 구토 등의 증상으로 뇌부종이 의심되면 CT를 통해 중증도를 평가하고 뇌졸중과 같은 다른 원인을 배제한다.[80]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다른 당뇨병성 응급질환과 구별된다. 고삼투압성 고혈당 증후군(HHS)은 제2형 당뇨병에서 더 흔하며, 심한 탈수로 인해 혈장 삼투압농도가 320mosm/kg 이상 증가한다. 가벼운 산증과 케톤혈증이 나타날 수 있지만, 당뇨병성 케톤산증만큼 심하지는 않다. 두 질환은 어느 정도 겹치는 부분이 있다.[55]

케톤산증은 당뇨병 외에도 알코올 의존증이나 폭음에 의한 알코올성 케톤산증, 심하게 굶어서 발생하는 기아성 케톤산증도 있다. 이때 혈당 수치는 정상이거나 낮다. 당뇨병 환자에서 에틸렌 글라이콜이나 파라알데하이드 등에 의한 중독과 같은 다른 이유로 대사성 산증이 나타나기도 한다.[55]

미국당뇨협회는 성인의 당뇨병성 케톤산증을 중증도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한다.[55]

성인 당뇨병성 케톤산증 중증도 분류 (미국당뇨협회)
구분혈중 pH혈청 중탄산염 농도 (mmol/L)의식 상태
경도7.25 ~ 7.3015 ~ 18명료
중등도7.00 ~ 7.2510 ~ 15약간 졸림
중증7.00 이하10 이하혼미 또는 혼수



유럽소아내분비학회와 로슨 윌킨스 소아내분비학회의 2004년 기준은 소아에 대해 약간 다른 기준값을 사용한다.[69]

소아 당뇨병성 케톤산증 중증도 분류 (유럽소아내분비학회/로슨 윌킨스 소아내분비학회, 2004)
구분혈중 pH혈청 중탄산염 농도 (mmol/L)
경도7.20 ~ 7.3010 ~ 15
중등도7.10 ~ 7.205 ~ 10
중증7.1 미만5 미만


6. 예방

당뇨병 환자는 '병가 규칙(sick day rules)'을 준수하여 당뇨병성 케톤산증 발작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60] 이 규칙은 환자가 몸이 좋지 않을 때 스스로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다. 지침에는 혈당 수치가 조절되지 않을 때 얼마만큼의 인슐린을 추가로 투여해야 하는지에 관한 조언과, 소금과 탄수화물이 풍부하면서 쉽게 소화가 되는 식단, 발열을 억제하고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 의학적인 도움을 요청할 때의 권장 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다.[55]

또한 당뇨병 환자는 몸이 좋지 않을 때 자신의 케톤 농도를 지켜보고 만일 케톤 농도가 올라갔다면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73]

7. 치료

인슐린을 사용하여 높은 혈당과 케톤 생성을 억제하면서 손실된 체액과 전해질을 보충하는 것이 당뇨병성 케톤산증 치료의 주요 목표이다. 면밀한 관찰을 위해 중환자실(ICU) 또는 준중환자실(HDU) 입원이 필요할 수 있다.[60]
체액 보충추정되는 탈수 정도에 따라 보충하는 수액의 양이 달라진다. 쇼크를 일으킬 정도로 탈수가 심각하거나(신체 기관에 혈액 공급이 불충분하여 혈압이 심하게 감소), 의식 수준이 저하된 경우, 순환 혈액량을 회복하기 위해 생리식염수를 빠르게 주입하는 것이 권장된다(성인에게는 1L, 소아에게는 10mL/kg을 반복 투여).[55][72] 탈수가 중등도라면 계산된 수분 및 나트륨 부족에 기초하여 더 느린 속도로 수분 공급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생리식염수가 권장되는 수액이다.[73][72] 구토가 없고 경미한 탈수가 동반된 매우 경미한 케톤산증은 악화 징후를 관찰하면서 경구 수액 공급 및 정맥 내 투여 대신 피하 인슐린 투여로 치료할 수 있다.[72]

대개 생리식염수(0.9% NaCl)가 수액으로 쓰인다.[74] 거의 차이가 없는 다른 균형 잡힌 수액에 대한 몇몇 작은 임상시험이 있었다.[74]
인슐린 투여일부 가이드라인에서는 체중 1kg당 0.1 단위의 인슐린을 일시주사할 것을 권고한다. 이는 칼륨 수치가 3.3mmol/L 이상으로 확인된 직후 투여할 수 있으며, 그보다 낮으면 인슐린 투여로 인해 위험하게 낮은 칼륨 수치로 이어질 수 있다.[55] 다른 가이드라인에서는 인슐린 정맥 주입이 지연될 경우 근육 주사로 일시에 인슐린을 투여할 것을 권고하며,[60] 소아 당뇨병성 케톤산증(DKA) 관리 지침에서는 수액 투여가 완료될 때까지 인슐린 투여를 연기할 것을 권장한다.[72] 경증 또는 중등도 증상에는 속효성 인슐린 유사체를 피하 주사할 수 있다.[75]

일반적으로 인슐린은 혈당을 낮추고 케톤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시간당 0.1단위/kg으로 투여한다. 혈당 수치가 감소하기 시작할 때 사용할 용량에 대해서는 지침이 다르며, 미국 지침에서는 포도당이 16.6mmol/L (300mg/dL) 미만으로 떨어지면 인슐린 용량을 줄일 것을 권장하고,[55] 영국 지침에서는 14mmol/L (253mg/dL)에서 줄일 것을 권장한다.[60] 다른 지침에서는 더 높은 용량의 인슐린을 계속 주입할 수 있도록 생리식염수와 함께 포도당을 주입할 것을 권장한다.[73][72]
칼륨 보충칼륨 수치는 당뇨병성 케톤산증 치료 중 심하게 변동할 수 있는데, 인슐린이 나트륨-칼륨 펌프 활동 증가를 통해 칼륨을 세포로 재분배함으로써 혈중 칼륨 수치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이동된 세포 외 칼륨의 상당 부분은 삼투압성 이뇨로 인해 소변으로 손실되었을 것이다. 저칼륨혈증은 종종 치료 후에 발생한다. 이는 부정맥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심박수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권장되며,[60][72] 칼륨 수치를 반복적으로 측정하고 칼륨 수치가 5.3 mmol/L 미만으로 떨어지면 정맥 내 수액에 칼륨을 추가하는 것이 권장된다. 칼륨 수치가 3.3 mmol/L 미만으로 떨어지면, 저칼륨혈증을 교정하기 위해 인슐린 투여를 중단해야 할 수도 있다.[55]
탄산수소 나트륨 투여탄산수소 나트륨 용액 투여를 통해 혈중 산성도를 빠르게 개선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표준 치료법 외에 결과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증거는 거의 없으며, 혈액의 산성도를 개선할 수 있지만 실제로 신체 세포 내부의 산성도를 악화시키고 특정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증거가 일부 있다. 따라서 그 사용은 권장되지 않지만,[60][69][73] 일부 지침에서는 극심한 산증(pH 6.9 미만)과 심각한 산증(pH 6.9–7.0)에 소량 투여를 권장한다.[55]
뇌부종 치료뇌부종은 혼수와 관련이 있는 경우, 종종 중환자실 입원, 기계환기, 그리고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수액 투여 속도는 늦춰진다. 당뇨병성 케톤산증에서의 뇌부종에 대한 이상적인 치료법은 확립되지 않았지만, 부종을 줄이기 위해 다른 형태의 뇌부종에서와 마찬가지로 정맥 내 만니톨과 고장성 식염수(3%)가 사용된다.[69] 뇌부종은 성인에게는 흔하지 않다.[60]
해소 기준 및 인슐린 전환당뇨병성 케톤산증의 해소는 경구 영양 및 수액 섭취, 혈액 산도 정상화(pH > 7.3), 혈액 또는 소변 내 케톤 부재(<1 mmol/L) 등 증상의 전반적인 개선으로 정의된다. 이것이 달성되면 인슐린은 피하 투여 요법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1시간 후 정맥 투여를 중단할 수 있다.[60][72]
케톤증 경향 제2형 당뇨병케톤증 경향이 있는 제2형 당뇨병이 의심되는 환자의 경우, 글루탐산 탈탄산효소 및 랑게르한스섬 세포에 대한 항체 검사를 통해 장기적인 인슐린 투여를 계속할지(항체가 검출될 경우), 인슐린을 중단하고 제2형 당뇨병과 같이 경구 약물로 치료를 시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63]

8. 역학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매년 당뇨병 환자 1,000명당 4.6~8.0명에서 발생한다.[68][28] 제1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연간 발생률이 더 높은데, 영국에서는 약 4%[54][2], 말레이시아에서는 약 25%이다.[56][4] 미국에서는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인해 매년 135,000명이 입원하며, 이로 인한 추정 비용은 24억달러로, 제1형 당뇨병 치료 총 비용의 25~50%에 해당한다.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인한 입원 경향은 증가 추세에 있다.[55][3] 섭식장애나 인슐린 비용 부담 능력 부족 등 위험 인자가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55][3] 제1형 당뇨병 환아의 30%는 당뇨병성 케톤산증을 겪은 후 당뇨병으로 진단받는다.[76][40]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거나 거주 지역의 빈곤 정도가 높을수록 제1형 당뇨병 환자의 당뇨병성 케톤산증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77][41]

과거에는 항상 치명적인 것으로 여겨졌으나, 적절하고 시기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사망 위험은 1~5%이다.[54][60][2][14]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아의 뇌부종 발생 위험은 약 1%이다.[78][42] 미국에서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아의 뇌부종 발생률은 2002년 0.4%에서 2012년 0.7%로 증가했다.[79][43] 뇌부종이 발생한 환아 10명 중 2~5명은 뇌부종으로 인해 사망한다.[80][44]

9. 역사

율리우스 드레슈펠트는 영국 맨체스터에서 일하던 독일의 병리학자로, 1886년 런던 영국 왕립의사회에서 아돌프 쿠스마울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케톤산증의 주된 케톤인 아세토아세트산과 베타-하이드록시뷰티르산에 대해 설명하며 당뇨병성 케톤산증을 최초로 완전히 설명했다.[81]

1920년대 인슐린이 발견되기 전까지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거의 항상 치명적인 질환이었다. 1930년대에 사망률은 29%까지 떨어졌으며,[57] 1950년대에는 10% 미만으로 감소하였다.[82] 1936년에는 필라델피아의 의사 팀이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인한 뇌부종을 기술했다.[80][83]

1950년대 이후 테네시 헬스사이언스센터 대학교와 에모리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이상적인 치료법에 대한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82] 고용량 또는 저용량의 인슐린을 정맥 주사, 피하 주사, 근육 주사하는 요법, 보충, 인슐린 부하용량의 필요성, 중등도 당뇨병성 케톤산증에서 중탄산염 치료의 적절성 등이 연구되었다.[82] 그러나 중증 당뇨병성 케톤산증에서 중탄산염 치료가 임상적 경과에 실질적인 차이를 만드는지, 또는 성인에서 인슐린 부하용량이 필요한지에 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있다.[82]

케톤증 경향 제2형 당뇨병은 1987년에 여러 선행 증례 보고 이후 완전히 설명되었다. 처음에는 단일유전자 당뇨병의 일종으로 생각되었으며,[84] '케톤증 경향 제2형 당뇨병'이라는 용어가 채택되기 전까지 '특발성 제1형 당뇨병', '플랫부쉬 당뇨병', '비정형 당뇨병', '제1.5형 당뇨병'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55][63]

참조

[1] 서적 Ferri's Differential Diagnosis: A Practical Guide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ymptoms, Signs, and Clinical Disorders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0
[2] 논문 Diabetic ketoacidosis in adults 2015-10
[3] 논문 Hyperglycemic crises in adult patients with diabetes 2009-07
[4] 논문 Diabetic ketoacidosis and hyperglycemic hyperosmolar state 2013-12
[5] 논문 Overview of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iabetic ketoacidosis 2006-05
[6] 논문 The Bradshawe Lecture on Diabetic Coma 1886-08
[7] 논문 Thirty years of personal experience in hyperglycemic crises: diabetic ketoacidosis and hyperglycemic hyperosmolar state 2008-05
[8] 논문 Cerebral lesions in uncomplicated fatal diabetic acidosis
[9] 논문 Treatment of diabetic coma with continuous low-dose infusion of insulin 1974-06
[10] 웹사이트 Diabetic ketoacidosis: Know the warning signs-Diabetic ketoacidosis - Symptoms & causes https://www.mayoclin[...] 2024-04-27
[11] 논문 Diabetic Ketoacidosis (DKA) https://www.diabetes[...] 2023-08-09
[12] 서적 Nelson Essentials of Pediatrics Elsevier/Saunders 2015
[13]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14] 웹사이트 The Management of Diabetic Ketoacidosis in Adults https://abcd.care/re[...] Association of British Clinical Diabetologists 2021-06
[15] 웹사이트 Skin turgor: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medlineplus.[...] 2024-04-27
[16] 서적 Textbook of Clinical Pediatr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
[17] 논문 Brain injury in children with diabetic ketoacidosi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proposed pathophysiologic pathway for the development of cerebral edema 2023-04-25
[18] 논문 New perspectives on the pathogenesis of cerebral edema complicating diabetic ketoacidosis in children 2006-06
[19] 웹사이트 Diabetes https://www.who.int/[...] 2024-04-27
[20] 논문 Narrative review: ketosis-prone type 2 diabetes mellitus 2006-03
[21] 논문 SGLT2 Inhibitor-associated Diabetic Ketoacidosis: Clinical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and Diagnosis 2016-12
[22] 논문 Dehydration and insulinopenia are necessary and sufficient for euglycemic ketoacidosis in SGLT2 inhibitor-treated rats 2019-02
[23] 논문 Sodium-glucose co-transporter type-2 inhibitors: pharmacology and peri-operative considerations 2018-08
[24] 논문 On-label use of sodium–glucose cotransporter 2 inhibitors might increase the risk of diabetic ketoacidosis i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2021-09
[25] 논문 International Consensus on Risk Management of Diabetic Ketoacidosis i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Treated With Sodium-Glucose Cotransporter (SGLT) Inhibitors 2019-06
[26] 간행물 Ketoacidosis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
[27] 논문 The Physiology of Glucagon 2010-11
[28] 논문 Hyperglycemic crises in adult patients with diabetes: a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http://care.diabetes[...] 2006-12
[29] 논문 European Society for Paediatric Endocrinology/Lawson Wilkins Pediatric Endocrine Society consensus statement on diabetic ketoacidosi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ttp://pediatrics.aa[...] 2004-02
[30] 논문 Maturity-onset diabetes of youth in black Americans 1987-02
[31] 논문 Update on diagnosis, pathogenesis and management of ketosis-prone Type 2 diabetes mellitus 2011-11
[32] 논문 Uncommon forms of diabetes 2021-07
[33] 논문 High prevalence of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deficiency without gene mutation suggests a novel genetic mechanism predisposing to ketosis-prone diabetes 2005-08
[34] 논문 Blood β-hydroxybutyrate vs. urine acetoacetate testing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ketoacidosis in Type 1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2013-07
[35] 논문 Utility of ketone measurement in the preven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iabetic ketoacidosis 2015-01
[36] 웹사이트 BSPED Recommended DKA Guidelines 2009 https://www.bsped.or[...] British Society for Paediatric Endocrinology and Diabetes 2009-05
[37] 웹사이트 Type 1 diabetes in adults: diagnosis and management http://www.nice.org.[...]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2015-08
[38] 저널 Fluid Therapy For Pediatric Patients With Diabetic Ketoacidosis: Current Perspectives 2019
[39] 저널 Subcutaneous rapid-acting insulin analogues for diabetic ketoacidosis 2016-01
[40] 저널 Car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a statement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http://care.diabetes[...] 2005-01
[41] 저널 Inequalities in glycaemic control, hypoglycaemia and diabetic ketoacidosis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and area-level deprivation in Type 1 diabetes mellitus: a systematic review 2018-01
[42] 저널 Rare complications of pediatric diabetic ketoacidosis 2015-02
[43] 저널 Incidence, Trends, and Outcomes of Cerebral Edema Among Children With Diabetic Ketoacidosis in the United States 2016-09
[44] 저널 Cerebral oedema in childhood diabetic ketoacidosis: is treatment a factor? 2004-03
[45] 저널 Metabolism of ketone bodies during exercise and training: physiological basis for exogenous supplementation 2017-05-01
[46] 저널 Ketone body therapy: from the ketogenic diet to the oral administration of ketone ester 2014-09
[47] 저널 Multi-dimensional Roles of Ketone Bodies in Fuel Metabolism, Signaling, and Therapeutics 2017-02-07
[48] 저널 Ketone bodies: a review of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application of monitoring to diabetes 1999-11
[49] 저널 酢酸クロルマジノンが原因と思われた糖尿病性ケトアシドーシスの1例 1998
[50] 웹사이트 糖尿病性ケトアシドーシス (DKA) http://www.msdmanual[...]
[51] 저널 糖尿病性ケトアシドーシスから心停止をきたし, 救命し得た劇症1型糖尿病の1例 2002
[52] 저널 清涼飲料水の多飲を契機に発症, 高カルシウム血症, 高トリグリセリド血症と無痛性急性膵炎を合併した2型糖尿病での糖尿病性ケトアシドーシスの1例 2001
[53] 서적 Ferri's Differential Diagnosis: A Practical Guide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ymptoms, Signs, and Clinical Disorders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0
[54] 저널 Diabetic ketoacidosis in adults 2015-10
[55] 저널 Hyperglycemic crises in adult patients with diabetes 2009-07
[56] 저널 Diabetic ketoacidosis and hyperglycemic hyperosmolar state 2013-12
[57] 저널 Overview of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iabetic ketoacidosis 2006-05
[58] 서적 Nelson Essentials of Pediatrics https://archive.org/[...] 2015
[59]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60] 웹인용 The Management of Diabetic Ketoacidosis in Adults https://abcd.care/re[...] Association of British Clinical Diabetologists 2021-06
[61] 서적 Textbook of Clinical Pediatr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
[62] 저널 New perspectives on the pathogenesis of cerebral edema complicating diabetic ketoacidosis in children 2006-06
[63] 저널 Narrative review: ketosis-prone type 2 diabetes mellitus 2006-03
[64] 저널 SGLT2 Inhibitor-associated Diabetic Ketoacidosis: Clinical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and Diagnosis 2016-12
[65] 저널 Dehydration and insulinopenia are necessary and sufficient for euglycemic ketoacidosis in SGLT2 inhibitor-treated rats 2019-02
[66] 저널 Sodium-glucose co-transporter type-2 inhibitors: pharmacology and peri-operative considerations 2018-08
[67] 저널 International Consensus on Risk Management of Diabetic Ketoacidosis i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Treated With Sodium-Glucose Cotransporter (SGLT) Inhibitors 2019-06
[68] 저널 Hyperglycemic crises in adult patients with diabetes: a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http://care.diabetes[...] 2006-12
[69] 저널 European Society for Paediatric Endocrinology/Lawson Wilkins Pediatric Endocrine Society consensus statement on diabetic ketoacidosi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ttp://pediatrics.aa[...] 2004-02
[70] 저널 Blood β-hydroxybutyrate vs. urine acetoacetate testing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ketoacidosis in Type 1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2013-07
[71] 논문 Utility of ketone measurement in the preven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iabetic ketoacidosis 2015-01
[72] 웹인용 BSPED Recommended DKA Guidelines 2009 https://www.bsped.or[...] British Society for Paediatric Endocrinology and Diabetes 2009-07-12
[73] 웹인용 Type 1 diabetes in adults: diagnosis and management http://www.nice.org.[...]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2015-08
[74] 논문 Fluid Therapy For Pediatric Patients With Diabetic Ketoacidosis: Current Perspectives 2019
[75] 논문 Subcutaneous rapid-acting insulin analogues for diabetic ketoacidosis 2016-01
[76] 논문 Car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a statement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http://care.diabetes[...] 2005-01
[77] 논문 Inequalities in glycaemic control, hypoglycaemia and diabetic ketoacidosis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and area-level deprivation in Type 1 diabetes mellitus: a systematic review 2018-01
[78] 논문 Rare complications of pediatric diabetic ketoacidosis 2015-02
[79] 논문 Incidence, Trends, and Outcomes of Cerebral Edema Among Children With Diabetic Ketoacidosis in the United States 2016-09
[80] 논문 Cerebral oedema in childhood diabetic ketoacidosis: is treatment a factor? 2004-03
[81] 논문 The Bradshawe Lecture on Diabetic Coma 1886-08
[82] 논문 Thirty years of personal experience in hyperglycemic crises: diabetic ketoacidosis and hyperglycemic hyperosmolar state 2008-05
[83] 논문 Cerebral lesions in uncomplicated fatal diabetic acidosis https://archive.org/[...]
[84] 논문 Maturity-onset diabetes of youth in black Americans 198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